배당금 높은 주식
주식을 시작하면서
배당이라는 것을 처음 알았는데요.
해외주식은 월배당, 분기배당 등
선택의 폭이 다양한데
국내 주식은 연배당이 많습니다.
연배당 때문인지
배당락이 폭이 너무 큰 거 같은데요
그래서 그런지
찬바람이 불어오면 배당주가 강해지는
상황을 느끼고 있습니다.
고배당 주식
고배당을 주는 업종은
역시나 금융과 은행 또 보험 등
금융업입니다.
항상 상위권에 있는 거 같아요,
2022년 배당금 높은 주식 (예상)
1, JB금융지주 (9.58%)
2. BNK 금융지주 (9.45%)
3. 우리금융지주 (9.17%)
4. SK스퀘어 (8.88%)
5. 기업은행 (8.08%)
6. 에쓰오일 (7.93%)
7. 삼성카드 (7,76%)
8. 하나금융지주 (7.73%)
9. HD현대 (7.04%)
10. LX세미콘 (7.02%)
11. KB금융 (6.90%)
12. LX인터내셔널 (6.77%)
13. 신한지주 (6.62%)
14. HMM (6.62%)
15. GS (6.07%)
16. 한국가스공사 (5.95%)
17. GS건설 (5.7%)
18. 현대해상 (5.47%)
19. KT&G (5.30%)
2O. 기아 (5.04%)
예상이지만
배당을 많이 주는 기업입니다.
20가지 종목 중에
제가 가지고 있는 종목이
2가지가 있는데요.
삼성카드와 KT&G입니다.
작년에 배당을 받아보니
배당락이 엄청 났습니다.
연말에 오르는 주가는
결국 배당을 받고 다시 매도하는 사람이
많아져서 다시 오르기 전으로 돌아갔어요.
2022년의 배당락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나이가 점점 들수록
배당주와 성장주의 분배가 필요한 거 같아요.
한쪽으로 몰리는 건 좋지 않겠다고
주린이로서 생각을 하고 있어요.
20대에는 성장주(8) : 배당주 (2)
30대에는 성장주 (7) : 배당주 (3)
40대에는 성장주 (6) : 배당주 (4)
이런 식으로 저는 포트를
조정할 생각입니다.
자신만의 계획을 가지고
주식을 하면 재미도 있고
목표가 있어서 좋지 않을까요?
금리가 올라가니
성장주는 떨어지고
배당주는 방어가 되었어요.
경제는 사이클이 있다고 하는데
배당주가 강해지는 시기가 있고
성장주가 강해지는 시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배당을 받아서
현금흐름을 늘려나가는 게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는 주린이입니다.
다들 배당주 많이 가지고 계신가요?
우리 이웃님들께서도 성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액공제, 연말정산, 소득공제 뜻 (개인연금저축 절세) (10) | 2022.12.06 |
---|---|
개인회생 신청자격, 신청방법, 장단점 (5) | 2022.12.06 |
알바비 미지급 신고 (고용노동부 오프라인 신고 & 온라인 신고) (14) | 2022.12.05 |
[카타르월드컵] 대한민국브라질 경기일정, 전적, 월드컵 거리운동 (6) | 2022.12.04 |
[낙태 합법화] 낙태시기 & 낙태방법 &낙태후유증 (13) | 2022.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