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험이 필요합니다.
내 집 마련은 너무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전세라는 좋은 제도가 있는데요. 전세도 큰 돈이 들어가는데 이럴 때 꼭 필요한 전세보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요즘은 전세도 깡통전세가 많아서 피해를 보시는 분들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뉴스에도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특히나 사회초년생들이 사기를 많이 당하고 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전 재산이 될 보증금이 없어지는 위험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무서운 세상.... 그래서 조심이라도 안전하게 전세 보증금을 지켜줄 전세보증보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ug 전세보증보험
전세보증보험은 임대차 계약 만기 시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서 보증보험사에서 보증금을 대신해서 내주는 일종의 보험입니다. 이 제도를 이용하면 임차인은 보증보험공사를 통하여 전세금을 먼저 받고 보증보험공사에서 임대인에게 다시 보증금을 반환받는 방식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안심할 수 있어요.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임대보증금보증, 분양보증 등 주택보증 업무, 주택도시기금 전담 운용.
www.khug.or.kr
문의 전화 1566-9009
전세계약을 통해 집을 구할 때 보증보험을 꼭 해야되는건 아닙니다. 보통 주택 임대사업자로 등록된 주택은 필수적으로 가입을 해야 되고, 이외의 주택의 경우 의무가입은 아니라 임대인과 사전 협의 후 가입을 해야 됩니다. hug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고 만기 시 임대인이 사정이 생겨 보증금을 받지 못할 상황이 오더라도 보증회사에서 보증금을 돌려주기 때문에 임차인에게는 가입하면 안전합니다. 요즘 같이 깡통전세가 많을 때 꼭 가입을 하면 좋을 거 같네요. 큰돈이 들어가는 계약인데 안전장치는 꼭 필요한 거 같습니다.
가입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조건이 필요합니다. 등기부 등본상에 주택에 대한 경매나 압류,설정, 가처분 등 권리 침해 사항은 없어야 하고 토지와 건물 둘 다 집주인이 같아야 해요. 또 건축물대장상에도 문제가 없어야 되고 전세계약기간은 최소 1년 이상은 되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입이 가능한 곳인지 알아보고 계약을 하시는 게 좋겠어요.

수도권의 경우 7억원 이하의 주택, 기타 지역은 5억 원 이하의 제한 금액이 있습니다. 또 공인중개사 사무소를 통해 계약을 한 거래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보험가입 대상이 되는지 확인을 꼭 해야겠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료 강아지] 로얄 캐닌을 먹는 귀여운강아지 코코 (16) | 2022.11.16 |
---|---|
업비트 고객센터 전화번호, 회사 위치 (5) | 2022.11.15 |
업비트 보안을 강화하다 (자체 로그인 시스템) (13) | 2022.11.14 |
1주택자 전세자금대출 신청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9) | 2022.11.14 |
쥬비스 다이어트 2000만원의 진실은? (16) | 2022.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