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난방비 절약방법 ; 난방비 절약

흙수저 2023. 2. 12. 00:00
반응형

무서운 난방비

난방비가 무섭습니다.

 

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보내기 위해서 난방은 꼭 필요한데요.

 

최근 난방비 급등으로 가계 부담이 커졌습니다.

 

난방비를 줄이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하면 좋을까요?

절약

반응형

중앙난방 절약방법


중앙난방 방식을 사용하는 공동주택이 아직까지도 많이 있습니다.

 

노후 보일러 본체 및 배관, 열교환기, 밸브 등 손실요인이 많은데요.

 

점검을 통해서 운전방법을 개선해서 난방비 절약을 할 수 있습니다.

 

중난난방 절약 Tip

  • 배기가스 CO 값과 O2 값을 측정하여 적정 공기비 조정(전문기관 의뢰)
  • 보일러 급수온도 상승. 배기가스 폐열 회수, 응축수 회수 장치 등 설치
  • 배관에서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온 실시
  • 주기적인 세관을 통하여 전열면의 그을음, 스케일을 제거
  • 연수기 작동상태 점검 등 수질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

지역난방 절약방법


공급온도 및 회수온도, 압력, 밸브 누수, 부식점검 등 손실요인이 많습니다.

 

서울에너지공사와 한국지역난방공사에 의뢰를 해서 개선사항을 알아보면 난방비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서울 에너지공사

 

본사 고객서비스 : 02-2640-5260

동부지사 배관기술부 : 02-2640-5540

서부지사 배관기술부 : 02-2092-5250

 

 

한국지역난방공사

 

강남지사 : 02-3410-8681

중앙지사 : 02-300-3323

 

지역난방 절약 Tip

  • 겨울철 동안 온도조절기의 전원을 끄지 않기
  • 내 온도를 20°C 설정한 상태에서 난방 사용 시 춥다고 느낀다면 난방 온도를 0.5~1°C씩 천천히 상승
  • 난방온수 분배기(보통 싱크대 밑)의 수동밸브 조절
  • 사용하지 않는 방은 ‘외출모드’로 설정하고 방문을 닫아, 열손실 방지

개별난방 절약방법


보일러 배관과 분배기 등의 문제를 해결하면 난방이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한국열관리시공협회는 보일러 배관과 분배기 등을 점검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안내하고, 점검을 해서 절약 실천수칙을 알려줍니다.

 

단독주택 중 보일러 점검과 진단을 희망하는 가구는 2023년 02월 24일까지 자치구 환경과로 접수하면 됩니다.

 

현장점검 및 상담은 2월 27일 ~ 3월 10일까지 진행됩니다.

 

자치구 환경과 연락처

종로구 2148-2444 환경과
중구 3396-5627 환경과
용산구 2199-7654 맑은환경과
성동구 2286-6374 맑은환경과
광진구 450-7336 환경과
동대문구 2127-4937 기후환경과
중랑구 2094-2433 맑은환경과
성북구 2241-3016 환경과
강북구 901-6755 환경과
도봉구 2091-3222 기후환경과
노원구 2116-3211 탄소중립추진단
은평구 351-7632 기후환경과
서대문구 330-1499 기후환경과
마포구 3153-9284 맑은환경과
양천구 2620-4864 녹색환경과
강서구 2600-4011 녹색환경과
구로구 860-2599 환경과
금천구 2627-1532 환경과
영등포구 2670-3461 환경과
동작구 820-9739 환경과
관악구 879-6268, 6291, 6282 녹색환경과
서초구 2155-6470 기후환경과
강남구 3423-6232 환경과
송파구 2147-3279 맑은환경과
강동구 3425-5935 기후환경과

 

개별난방 절약 Tip

  • 열성능이 좋은 건물은 외출 시 보일러를 끄지 말고 ‘외출모드’ 또는 실내 온도를 약하게 설정해 유지, 이후 따뜻한 온도 유지 시 난방비 절감과 더불어 배관 동파를 예방
  • 열효율이 저하된 노후보일러를 고효율 보일러로 교체해 난방비를 절약하고 설비 안전 도모
  • 보일러 난방을 위해 순환되는 난방수가 오염된 경우 난방수 교체를 통해 보일러의 수명 연장을 도모하고 열효율을 개선해 난방비를 절약
  • 도조절기는 꺼짐/잠금 상태에서도 미세한 열공급이 이루어지므로, 단열성능이 좋은 건물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방의 분배기 밸브를 잠그는 것이 좋음
728x90
반응형